과거에는 너무 흔하거나 가치가 없어 버려지던 수산물들이 뒤늦게 주목받는 경우가 꽤 있는데 그 이유로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해당 개체들의 서식환경에도 변화가 생겨 어획량이 급감하거나 매스미디어와 매스컴을 통해 재조명을 받으며 수요가 급증하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관광지가 개발되어 알려지면서 지역 특산물 선정 등을 통해 인기가 높아지고 이를 매스컴을 통해 입소문이 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는 등으로 그 몸값이 비싸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물곰탕이나 곰치국(물메기탕)을 들 수 있으며 현재 이런 물곰탕이나 곰치국(물메기탕)은 겨울에 맛봐야 할 생선탕 중 으뜸이라 할 수 있죠.
물곰, 물메기, 곰치와 꼼치의 구별법 및 그 맛과 영양분
우리 조상들은 예전에 아귀나 꼼치(물메기) 등을 '물텀벙이' 라 부르며 어획되더라도 바로 다시 바다에 버릴 정도로 비선호하는 생선이었는데 이는 특히 예로부터 우리나라에 이어져 내려온 관혼상제의 문화와 깊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생선'이라고 하면 체구나 체형, 골격과 비늘을 갖추고 있는 개체를 뜻하였는데 특히 이를 비늘이 있는 어종에 한정하여 인식해 왔으므로 미거지(물곰)나 꼼치(물메기)와 같이 비늘이 없고 흐물거리는 물고기를 제사상에 올리는 것이 조상에 대한 예의에 어긋난다고 생각해 왔던 것이죠.
뿐만 아니라 아귀나 물메기의 경우 어부들의 조업을 방해하는 천덕꾸러기 역할도 하였는데 그물을 엉키게 하거나 손이 많이 가는 생선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잡히자마자 바로 바다에 버려지는 물고기였던 것이죠. 이들을 물에 던질 때 '텀벙'하고 소리가 날 뿐 그 외에 아무런 가치가 없어 '물텅벙이'라 부르게 되었답니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상황이 많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서러운 천덕꾸러기였던 미거지(물곰)나 꼼치(물메기), 아귀 등은 이제는 그 몸값이 높아져 생선탕 한 그릇에 1만 원이 훌쩍 넘어갈 정도로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고급어종이 되어 있더란 말이죠.
오늘 포스팅의 주인공인 미거지(물곰)와 꼼치(물메기)는 예로부터 이렇게 가치가 없고 버려지던 저급 생선이었으므로 어부들이 직접 소비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부들이 조업을 할 때 바쁘게 움직여야 하므로 밥을 차려먹을 시간이 없으니 상대적으로 가치가 없던 물텀벙이(아귀, 물메기 등)에 김치 등을 넣고 끓여 낸 후 밥을 말아먹었던 것이 기원이 되어 삼척과 강릉을 통해 퍼지면서 현재에는 별미 중의 별미인 물곰탕이나 곰치국이 탄생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물메기의 진실
그런데 사실 물메기탕에 물메기가 들어있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물메기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이는 한국에서 정식 명칭과 방언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똑같은 생선이라도 각자 부르는 이름이 달라서 생긴 일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물메기는 정식 명칭이 '꼼치'라고 불리는 생선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물메기로 알고 먹어왔던 생선들은 대부분 꼼치였던 것이죠. 더욱이 이 생선을 '꼼치'라고 부르는 곳은 동해 일부 지역에서 뿐이고 같은 꼼치가 들어가더라도 서해와 남해에서는 이를 '물메기탕'이라고 부르고 동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 음식을 '곰치국'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물메기란 정식 명칭을 가진 생선은 실제로 존재하고 있으며 물메기로 불리고 있는 꼼치보다는 크기가 훨씬 작고 많이 어획되지도 않는 생선입니다. 우리가 물메기라 부르고 있던 꼼치와는 그 외모와 크기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 생선인데 문제는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방언으로 인해서 서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역에 따라 꼼치를 물메기, 물곰, 곰치 등으로 부르기도 하고 미거지를 곰치나 물메기로 부르기도 한다는 점에서 서로 간에 인식하는 생선의 이름이 다르다면 거래에 있어 상당한 혼란이 올 수도 있겠다는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물곰탕과 곰치국(물메기탕)
속초에서 포항에 이르기까지 동해안으로 가셨을 때 '물곰탕'이라는 메뉴를 자주 보실 수 있으셨을 겁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물메기탕(곰치국)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고 느끼실 수도 있지만 메인 재료는 엄연히 다른 종류입니다. 물메기로 불리는 꼼치는 서해와 남해, 그리고 동해에까지 모두 서식하고 있는 생선이지만 물곰은 동해에서만 서식하고 있죠.
이런 물곰 또한 정식 명칭은 따로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미거지'입니다. 그 미거지로 만든 탕이 바로 물곰탕인 것이죠. 동해안 일부 식당에는 이렇게 꼼치로 만든 물메기탕(곰치국)과 미거지로 만든 물곰탕을 함께 취급하는 곳도 있는데 대게는 물곰탕이 물메기탕(곰치국) 보다 더 비싸고 고급으로 취급됩니다.
그런데 이 둘은 외형마저 매우 비슷하게 닮아있어 이들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요리를 하고 나면 도저히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기 때문에 일부 식당에서 꼼치를 이용해서 만든 물메기탕(곰치국)을 물곰탕으로 속여 팔다가 적발된 사례도 있으며 특히 수도권에서는 아직 적발되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 그렇게 영업을 하고 있는 곳도 실제로 많이 목격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고의적으로 속이는 것을 제외하고 동해안에서는 예전부터 곰치국과 물곰탕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떤 식당에서는 곰치국과 물곰탕을 따로 메뉴로 정해놓고 판매하고 있는 곳이 있는 반면 다른 식당에서는 곰치국이라는 메뉴만 판매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꼼치가 아닌 미거지로 만든 음식이었던 것이죠. 이런 경우는 곰치국이라 표기하여 판매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물곰탕을 판매하고 있었던 것이죠.
쉽게 설명하면 동해안에서는 예전부터 물곰이라 불리는 미거지와 물메기라 불리는 꼼치로 만든 탕을 모두 곰치국이라 불렀던 것입니다. 그러나 미거지(물곰)와 꼼치(물메기)는 일단 가격에서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미거지로 요리된 음식과 꼼치로 요리된 음식의 명칭이 명확해져서 소비자들이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미거지(물곰), 꼼치(물메기), 물메기, 곰치의 차이와 구별법
1. 미거지(물곰)
물곰이라 불리는 미거지는 동해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생선으로 생김새는 꼼치와 매우 유사하지만 크기가 더 크고 색이 밝으며 몸통에 무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미거지는 암수에 따라 색의 차이가 있는데 수컷은 진한 암갈색에 매끈한 피부를 가진 듯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표면이 거칠거칠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암컷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색이 밝고 피부가 거칠지 않아요. 이들을 요리한 후에도 식감에서 차이가 있는데 수컷의 경우 식감이 좀 더 단단합니다.
2. 꼼치(물메기)
물메기라 불리는 꼼치는 미거지와 그 생김새가 매우 비슷한데 크기가 좀 더 작고 몸에 가로무늬 혹은 검은 점이 보이며 사진에서 표시한 부분과 같이 꼬리 부분에 세로로 흰색 줄이 있습니다. 미거지와 그 모습이 아주 흡사하죠? 미거지와 꼼치는 꼬리지느러미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는 점은 정식 명칭 물메기와 다른 점이지요.
3. 물메기
크기가 미거지(물곰)이나 꼼치(물메기)와 비교해서 많이 작고 꼬리지느러미가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와 둥글게 이어져 있습니다. 이 물메기는 꼬리지느러미를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 한 가지로 구별이 가능하겠습니다.
4. 곰치
이들의 이름 때문인지 곰치국이라는 요리의 이름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가끔 이들과 곰치를 헷갈려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곰치는 이들과는 엄연히 완전히 다른 종류의 생선입니다. 곰치는 아열대 바닷가 속에 바위틈이나 굴속에 숨어 살면서 물고기를 사냥하는 길고 무섭게 생긴 생선인데 이빨도 매우 날카롭고 성격도 포악하여 어리숙하거나 조금은 멍청하게 생긴 미거지나 꼼치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생선입니다.
이러한 곰치 또한 종류가 매우 많아 그 크기나 색깔 혹은 무늬가 모두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은데 생김새는 대부분 이와 똑같은 모양으로 미거지나 꼼치와는 완전히 다르므로 구별이 아주 쉽습니다.
5. 미거지(물곰), 꼼치(물메기), 물메기의 구별법
일단 정식명 곰치는 오늘 포스팅하는 생선과는 아주 다르게 생기기도 했고 완전히 다른 종류이므로 구별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고 나머지 3종류의 생선들에 대해서 구별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이들은 그 생김새가 매우 흡사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이 쉽지 않은데 아주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정식명 물메기의 경우에는 사실 어획량이 많지 않아 잘 보지 못하는 생선인데 가장 큰 특징으로는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가 모두 이어져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실 가장 헷갈려하시는 것은 미거지(물곰)와 꼼치(물메기)의 구별법인데요. 이들은 맛이나 생김새가 거의 똑같아서 확실하게 잘 구분하셔야 하는데요. 일단 이들은 정식명 물메기와는 다르게 꼬리지느러미가 구별 가능할 정도로 확실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다만 꼼치(물메기)의 경우 꼬리 몸통에 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고 가장 확실한 구별법으로는 꼬리지느러미 앞쪽으로 세로로 흰색 선이 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미거지(물곰)는 몸통에 아무런 무늬가 없고 특히 꼬리지느러미 앞쪽으로 흰색 선이 없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곰탕을 판매한다고 하는 식당에서 수조에 생선이 들어있을 때 꼬리 쪽에 흰색 선이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가격이 미거지(물곰)보다 싼 꼼치(물메기)를 미거지(물곰)라고 판매하는 경우는 아닌지 확인하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미거지와 꼼치의 맛과 영양분
겨울에 동해안에 가셔서 술을 한잔 하신 후에 해장을 하실 때는 물곰탕, 곰치국, 도치알탕 등을 많이 드십니다. 이는 겨울에 먹는 최고의 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로 미용에도 많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물곰탕이나 곰치국은 기본적으로 저지방 고단백 식품이며 비타민도 풍부합니다. 단지 이들은 살이 흐물흐물하고 이러한 현상은 요리를 하더라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탕으로 끓였을 때에는 콧물과 같이 미끄덩한 식감만 남을 뿐이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심한 음식이라 할 수 있죠.
이것은 미거지(물곰)와 꼼치(물메기)에는 콜라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는 껍질과 살 사이에 있는 점막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들의 신선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됩니다. 콜라겐이라는 것은 아무리 보관을 잘한다고 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아 없어지기 때문에 요리가 나왔을 때 흐물거리는 콧물 같은 부위가 많을수록 신선하다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저는 작년 겨울에 물곰탕을 상당히 잘한다고 소문난 식당에서 물곰탕을 먹어봤는데 일단 맛은 너무 좋았으나 밖에 위치한 수조 속에 있는 생선을 보니 꼼치였어요. 그래서 사장님께 "저 생선이 물곰이 아니라 물메기 아닌가요?"라고 물어봤더니 "우리는 물메기를 쓰지 않으며 수조 속에 있는 생선은 물곰입니다."라고 하여 당당하게 말씀하셔서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수조 속에 있는 생선의 꼬리에는 세로로 흰색 선이 선명하게 보였기 때문이죠. 이처럼 너무도 태연하고 자연스럽게 거짓말을 하는 분들이 있어서는 안 되겠죠. 맛있게 먹기는 했지만 그만큼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먹는데도 불구하고 속는다는 기분이 드니 기분이 썩 좋지는 않더군요. 여러분들도 물곰탕이나 곰치국 드실 기회가 있으면 꼭 한번 확인을 해 보시길 바랍니다.
'수산물의 모든 것 > 수산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싱한 활오징어가 10마리에 3만원? 가성비 최고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이용법 (19) | 2021.09.17 |
---|---|
꽃게와 전어와 흰다리 새우가 판을 치는 소래포구 어시장 이용법 (12) | 2021.09.16 |
고급횟감 붉바리의 제철과 특징 및 유사 생선들과의 구별법 (8) | 2021.09.15 |
살이 꽉 찬 대게(스노우크랩) 잘 고르는 법 (6) | 2021.09.11 |
낙지의 내장에 포함된 중금속은 안전한가? 낙지의 오해와 진실. (10) | 2021.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