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이야기

2021 근로장려금 신청기한 지나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by 강포졸 2021. 6. 24.
반응형

근로장려금 신청기한을 넘기셨나요? 그래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기한을 넘기신 여러분들을 위하여 드리는 두 번째 기회. 꼭 잡으셔서 근로장려금 받아보세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아마도 너무 바쁘시거나 깜빡하셨거나 아니면 이런 제도를 전혀 알지 못하셨기 때문에 근로장려금을 신청하지 못하신 분들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근로장려금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하는데 인터넷에서는 근로장려금 정기신청에 대해서만 포스팅이 되어 있고 정기신청 혹은 반기 신청기간에 신청하지 못한 분들을 위한 포스팅은 전혀 없는 것 같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꼼꼼하게 자세히 읽으시고 근로장려금 반드시 신청하세요.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정기신청 : 매년 5월 1일 ~ 6월 1일

정기신청 기한이 지난 후 신청 : 매년 6월 2일 ~ 12월 1일

 

대신 정기 신청기간이 지난 후에 신청하시는 분들은 지급액의 90%만 지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정기신청기간에 신청하시는 것이 더 좋긴 하겠네요. 

 

근로장려금 신청기한 후 신청자격

정기신청자격과 동일합니다. 정기신청 자격이 있는 분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1. 신청대상

  • 전년도,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이 있는 국내 거주하는 분들
  •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및 정기신청 기한 내 신청하지 못한 분들
  • 본인이나 배우자가 전문직에 종사하는 분들은 제외되고 가구 내 소득이 있는 1인만 신청 가능

2. 총소득 요건

  • 근로장려금 : 전년도 가구 총소득이 단독가구 2천만 원, 홑벌이 가구 3천만 원, 맞벌이 가구 3천6백만 원 미만일 경우

3. 재산요건

  • 전년도 6월 1일 기준 가구원의 재산 합계액이 2억 원 미만인 가구

4. 근로장려금 지급 대상자 여부 확인방법

  • 홈텍스 접속
  • 조회/발급 메뉴
  •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아래 신청 안내대상자 여부 조회 클릭

 

근로장려금-지급-대상자-확인방법
근로장려금-지급대상자-확인방법

 

근로장려금 신청기한이 지난 후 신청하는 방법

1. 신청안내문을 받아 개별인증번호를 아는 경우

1) 전화신청

근로장려금-전화신청
근로장려금-전화신청

 

2) 손택스(모바일 앱)를 이용한 신청

  • 국세청 손택스(모바일 앱) 설치
  • 상단 신청 제출 메뉴로 들어간 후 근로. 자녀장려금(정기) 목록에서 신청하기 터치
  • 주민등록번호와 개별인증번호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3) 홈택스를 이용한 신청

  • 국세청 홈페이지인 홈택스에 들어가셔서 상단의 신청/제출에 커서를 올리시면 하위 메뉴들이 뜹니다. 우측으로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이라는 메뉴 밑으로 간편 신청하기를 클릭하세요.
  • 그러면 주민등록번호와 개별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나오며 이를 입력하시면 신청이 됩니다.

 

2. 신청안내문을 받지 못하여 개별인증번호를 모르는 경우

개별인증번호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국세청 홈페이지인 홈택스에서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신청자가 본인의 가구원, 소득, 재산 정보를 모두 직접 입력해서 이를 근거로 산정하여 신청해야 합니다. 

  • 홈택스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상단 신청/제출 메뉴에 커서를 올리시면 보이는 하위 메뉴들 중에 우측으로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이라는 메뉴 밑으로 아래에서 두 번째에 있는 신청하기를 클릭하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2021 근로장려금 지급일
  • 근로장려금 정기신청의 경우 근로장려금 지급은 신청일로부터 3개월 안에 지급 여부 결정이 되고 심사 통과 시 8월 말에서 9월 말까지 지급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 근로장려금 신청 기한 후 지급일은 신청했던 날로부터 4개월 안에 심사가 이루어지고 지급이 되게 됩니다.

이상으로 2021 근로장려금 신청기한을 지나서도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드렸는데요. 아직까지 신청을 못하신 분들은 반드시 기한 내 신청하셔서 근로장려금 받아가도록 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