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산물의 모든 것/수산물 이야기103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와 그 효능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서로 아주 비슷하게 생겼죠. 생김새와 향이 비슷하여 많은 분들이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잘 구분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서 오늘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와 그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와 그 효능 여러분들은 당연히 미더덕이라는 수산물을 알고 계시죠? 그런데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미더덕이 진짜 미더덕이 아니라 다른 수산물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신가요? 사실 미더덕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남해와 같은 일부 바닷가 지역에서는 예전부터 미더덕을 먹어왔지만 그 외의 지역에서는 미더덕이란 수산물이 있는지조차 알지 못하던 시절이었죠. 이런 미더덕이 본격적으로 양식허가를 받은 때가 1999년이며 우리는 이때부터.. 2021. 10. 13. 10월에 추천하는 제철 생선과 수산물. 가을 전어, 갑오징어와 쭈꾸미, 돌돔, 대하와 흰 다리 새우, 낙지. 이제 본격적으로 날씨가 쌀쌀해지고 있는 엄연한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10월부터는 날씨가 제법 쌀쌀해지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제철 수산물의 판도가 급격히 바뀌게 되는데요. 그만큼 제철을 맞이하는 맛있는 수산물들이 대거 등장할 시기입니다. 오늘은 10월에 추천하는 제철 수산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0월에 추천하는 제철 생선과 수산물. 가을 전어, 갑오징어와 주꾸미, 돌돔, 대하와 흰 다리 새우, 낙지. 10월은 본격적인 가을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죠. 이때부터는 정말 많은 수산물들이 제철을 맞아 식탁에 오르는 시기인데요. 일단 너무 많은 수산물들을 소개해 드리면 또 고민이 많이 되실 수 있으니 지금까지 소개해 드렸던 것과 같이 5가지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가을 하면 가장 먼저 떠 오.. 2021. 10. 4. 가락시장 내 수산물 도매가로 싸게 구매할 수 있는 친절한 점포. 풍성한. 오늘은 수산물을 낮에도 도매가로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하며 그중에서도 오랫동안 강포졸이 단골로 이용하던 점포에 대해서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마지막에는 이 글을 읽어보시는 분들을 위한 인센티브도 준비해 두었으니 끝까지 꼼꼼하게 잘 읽어주시면 반드시 도움이 될 것이라 자신합니다. 낮에도 수산물을 도매가로 구매할 수 있는 가락시장의 장점과 단점 수도권 인근에서 수산물을 도매가로 구매할 수 있는 곳은 노량진 수산시장, 하남 수산시장을 비롯해서 몇 군데를 꼽을 수 있는데 그중에서 제가 가장 자주 찾는 곳이 바로 가락시장이지요. 가락시장에는 청과시장을 비롯해서 수산시장도 있고 시장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한데요. 이들 수산시장은 각자 장단점이 있어요. 크게 노량진 수산시장과 비교를 하자면 일단 노량진.. 2021. 9. 29. 생선의 제철과 산란철의 관계 및 그에 따른 생선회 먹는 시기 생선의 제철이란 물고기들이 산란을 위하여 먹이활동을 많이 하고 급격하게 살을 찌우는 시기를 말하는데 산란 직후의 생선이나 산란이 임박해 알에 영양분이 모두 쏠려있는 경우 생선의 살이 푸석해지고 맛이 없습니다. 그런데 간혹 제철 생선의 배를 갈랐는데 알이 들어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 경우 그 생선이 제철 생선이 맞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년간 생선의 상태변화 성체가 된 생선이 1년 동안 겪는 상태의 변화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짝짓기를 하고 알이 배어 알을 키우는 상태 2. 산란 직전이나 산란 직후의 상태 3. 산란 후 다음 산란을 위하여 살을 찌우는 상태 보통 알이 밴 생선의 경우 알이 다 차지 않은 상태라면 짝짓.. 2021. 9. 28. 싱싱한 활오징어가 10마리에 3만원? 가성비 최고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이용법 예전에 오징어가 비싸진 이유와 동명항과 속초 오징어 난전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었는데요. 거기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가성비 최고의 수산시장인 주문진 어민수산시장에 다녀왔습니다. 싱싱한 활오징어가 10마리에 3만 원이더군요. 어떠신가요? 최고의 가성비 아닌가요? 오늘은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이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찾아가는 길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근처에서는 어민수산시장을 포함해서 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시장이 크게 3군데가 있습니다. 일단 제가 가장 선호하는 주문진 어민수산시장이 있고 두 번째로 주문진 수산시장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주문진 좌판풍물시장이 있습니다. 1. 주문진 어민수산시장 위치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312-495 주문진 어민수산시장은 조합이나 단체.. 2021. 9. 17. 꽃게와 전어와 흰다리 새우가 판을 치는 소래포구 어시장 이용법 9월 제철 수산물로 꽃게를 추천드렸던 적이 있습니다. 9월이 가장 살이 많고 맛있을 때는 아니지만 그만큼 가격이 싸기 때문에 가성비가 좋은 이유에서였죠. 꽃게 이외에도 전어나 새우를 강력 추천하는데요. 이렇게 꽃게와 전어 그리고 새우가 판을 치는 소래포구 어시장을 다녀왔습니다. 각 수산물들의 가격 및 어시장 이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난전 어시장 찾아가는 길 소래포구에 가시면 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는 크게 3군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소래포구 종합어시장이 있는데 이곳은 차량을 지하에 주차하고 1층에서 수산물을 구매한 후 2층에 있는 양념집에서 상차림비를 주고 음식을 먹는 곳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소래포구 재래 어시장과 난전 어시장이 있는데 이곳은 대부분 수산물을 구매해서 집에서 드시.. 2021. 9. 16. 물곰, 물메기, 꼼치와 곰치의 구별법 및 그 맛과 영양분 과거에는 너무 흔하거나 가치가 없어 버려지던 수산물들이 뒤늦게 주목받는 경우가 꽤 있는데 그 이유로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해당 개체들의 서식환경에도 변화가 생겨 어획량이 급감하거나 매스미디어와 매스컴을 통해 재조명을 받으며 수요가 급증하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관광지가 개발되어 알려지면서 지역 특산물 선정 등을 통해 인기가 높아지고 이를 매스컴을 통해 입소문이 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는 등으로 그 몸값이 비싸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물곰탕이나 곰치국(물메기탕)을 들 수 있으며 현재 이런 물곰탕이나 곰치국(물메기탕)은 겨울에 맛봐야 할 생선탕 중 으뜸이라 할 수 있죠. 물곰, 물메기, 곰치와 꼼치의 구별법 및 그 맛과 영양분 우리 조상들은 예전에 아귀나 꼼치(물메기) 등.. 2021. 9. 15. 고급횟감 붉바리의 제철과 특징 및 유사 생선들과의 구별법 제주도에서는 다금바리가 최고의 횟감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그보다 더 비싸고 고급으로 인식되고 있는 생선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바로 붉바리가 그 주인공인데요. 붉바리는 한국에서 가장 비싼 생선외 중 하나인 자바리(일명 다금바리)와 늘 비교가 되는 고급어종인데 오늘은 이런 붉바리의 제철과 특징 및 유사생선들과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붉바리의 특징과 개체수 증가를 위한 노력 붉바리는 제주도에서 다금바리로 불리는 자바리와 같은 농어목 바리과에 속한 어류입니다. 살이 매우 단단하고 찰져 맛이 좋기로 소문난 바리과 종류들 중의 한 종류인데 최대 성장 크기가 60cm 정도이며 이 정도면 바리과 중에서는 비교적 작은 편이라고 할 수 있죠. 이들은 자바리(일명 다금바리)와 마찬가지로 수온이 20도씨 전.. 2021. 9. 15. 살이 꽉 찬 대게(스노우크랩) 잘 고르는 법 오늘은 스노우 크랩이라 불리는 수입산 대게와 국산 대게를 잘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입산 대게인 스노우 크랩과 국산 대게는 서로 같은 종류의 게입니다. 다만 어획되는 원산지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서식환경의 차이가 있는데 이를 통해 살이 꽉 찬 좋은 대게 고르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살이 꽉 찬 대게(스노우크랩) 잘 고르는 법 게들은 탈피를 통하여 성장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대게 또한 마찬가지이며 어느 정도 성장을 한 대게는 껍질이 단단해지는데 그 사이 단단한 껍질 안쪽으로는 부드러운 속껍질이 생기게 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탈피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게가 탈피를 하게 되면 기존의 크기보다 더 큰 게가 나오게 됩니다. 일단 그러기 위해서는 속껍질이 부드러운 상태.. 2021. 9. 11. 낙지의 내장에 포함된 중금속은 안전한가? 낙지의 오해와 진실. 서울시에서는 2010. 09월에 낙지에서 중금속의 일종인 카드뮴이 다량 검출되었다고 발표했고 이에 대하여 낙지를 조업하는 어민들과 서울시와의 갈등이 커졌던 때가 있습니다. 낙지를 조업하는 어민들은 서울시장의 사과와 재검사를 촉구하며 사건은 일단락되었으나 낙지에서 검출된 중금속 문제는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이기에 오늘 그 오해와 진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낙지에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최근에는 방사능도 걱정해야 되고 중금속도 걱정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네요. 그러나 이런 납이나 카드뮴 같은 중금속에 대한 문제는 사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발생한 결과이므로 누구를 탓할 수는 없고 자업자득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먼저 시원하게 말씀을 드리자면 낙지에는 일정량의 중금속이 포함되어 .. 2021. 9. 10.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 반응형